경북 예천 산사태로 피해를 본 사망자와 실종자는 소방이나 경찰에 신고할 겨를조차 없이 화를 당했습니다. <br /> <br />예천 지역이 산사태 취약 지구로 분류되지 않은 탓에 제대로 된 관리나 점검이 이뤄지지 않았습니다. <br /> <br />이윤재 기자가 문제점을 짚어봤습니다. <br /> <br />[기자] <br />산사태로 서른 가구 정도가 부서지고 쓸려간 경북 예천군 벌방리. <br /> <br />사람이 다니던 골목은 커다란 바위와 굵은 나무줄기가 막았습니다. <br /> <br />마을이 쑥대밭으로 변한 지난 15일 새벽. <br /> <br />겨우 몸만 빠져나와 목숨을 건졌지만, 주민 2명은 실종됐습니다. <br /> <br />[윤재 순 / 경북 예천군 감천면 : 나올 때는 여기 물이 별로 없었거든요. 집에서 나올 때는. 하다 보니까 이쪽으로도 뻘건 황토물이 내려오고, 저쪽으로도 황토물이 내려오더라고요. 문을 여니까. 현관문을 여니까 현관까지 물이 여기까지 올라왔어요. 그래서 문을 열다가 다시 닫고.] <br /> <br />이런 위험을 막아보려고 산림청은 산사태 위험 지도를 만들고 산사태 취약 지역도 지정해 관리합니다. <br /> <br />취약 지역이 되면 비상연락망을 만들어 해당 주민에게 소식을 알리게 됩니다. <br /> <br />하지만 예천 피해 지역은 산사태 취약 지역으로 지정되지 않았습니다. <br /> <br />산림청은 지자체와 함께 현장을 확인한 뒤 지질과 지형 등을 따져 취약 지역으로 지정하는데 예산과 인력 문제로 현장을 제때 확인하지 못한 겁니다. <br /> <br />[산림청 관계자 : (취약 지역) 주변에 사는 주민을 대상으로 취약 지역 주민 비상연락망을 관리합니다. 그래서 주의보라든지 경보가 발령되면 주민들한테 문자를 보내고, 마을 방송도 실시하고….] <br /> <br />또 무너진 산은 사유림이었던 탓에 국유림과 비교해 관리가 부족했습니다. <br /> <br />[국유림관리사무소 관계자 : 산림청에서 관리하고 있는 산이 아니기 때문에 저희 쪽에서 취약 지역 지정은 따로 없는 것 같고요.] <br /> <br />기록적인 폭우에 무너져 내린 산은 수많은 목숨을 앗아갔습니다. <br /> <br />기후변화에 대응하면서 새로운 제도를 도입하고 있지만, 주민들 생활 공간을 지키는 데까지는 미치지 못하면서 좀 더 현실적인 산사태 대비책을 마련해야 한다는 목소리가 커지고 있습니다. <br /> <br />YTN 이윤재입니다. <br /> <br /> <br /> <br /><br /><br />YTN 이윤재 (lyj1025@ytn.co.kr)<br /><br />※ '당신의 제보가 뉴스가 됩니다' <br />[카카오톡] YTN 검색해 채널 추가 <br />[전화] 02-398-8585 <br />[메일] social@ytn.co.kr<br /><br />▶ 기사 원문 : https://www.ytn.co.kr/_ln/0101_202307182200043162<br />▶ 제보 안내 : http://goo.gl/gEvsAL, 모바일앱, social@ytn.co.kr, #2424<br /><br />▣ YTN 데일리모션 채널 구독 : http://goo.gl/oXJWJs<br /><br />[ 한국 뉴스 채널 와이티엔 / Korea News Channel YTN ]